사찰에서 사용하는 법구에는 불음(佛音)을 전하는 사물(四物) 즉, 범종·목어·운판·법고가 있고 이외에 요령, 죽비, 악기, 향로, 다기, 마지그릇, 촛대, 석등 등이 있으며 염주와 같이 수행을 위한 법구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법구의 용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종(鐘)은 범종이라고도 하며 절에서 대중을 모으기 위해서나 때를 알리기 위해서 사용되었습니다.
의식에서는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여 괴로움을 없애고 즐거움을 얻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법고는 법을 전하는 북이라는 뜻입니다.
즉 북소리가 세간에 울려퍼지듯이 불법의 진리로 중생의 마음을 울려 일심을 깨우친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북은 홍고(弘鼓)와 소고(小鼓)로 나누어집니다.
홍고는 범종과 같이 범종각에 두고 조석예불 때에 치게 되며, 소고는 염불의식 때에 많이 사용됩니다.
주로 축생을 제도하기 위한 법구입니다.
운판은 청동 또는 철로써 구름무늬 모양의 넓은 판을 만들고 판 위에 보살상이나 진언을 새기기도 하며 가장자리에는 용이 승천하는 모양이나 구름과 달을 새기기도 합니다.
선종에서 대중에게 끼니 때를 알리기 위하여 울렸던 기구였는데, 차츰불전 사물의 하나로 바뀌어 조석예불에 치는 의식용구가 되었습니다.
즉 운판이 울리면 공중을 날아다니는 중생을 제도하고 허공을 헤매며 떠도는 영혼을 천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목어는 나무로 물고기 모양을 만들어서 걸어두고 두드리는 것인데, 처음엔 대중을 모으는데만 사용하였던 것이 뒤에 독경이나 의식에 쓰는 법구가 되었으며 물속에 사는 물고기를 제도한다고 합니다.
목어에서 유래된 목탁은 사람을 모을 때뿐만 아니라 염불, 독경, 예배할 때 등 불교의식에서 가장 폭넓게 쓰여지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96. 발우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나 (0) | 2021.08.08 |
---|---|
[알기쉬운 불교] 95. 염주는 어떻게 사용하며 어떤 것들이 있나 (0) | 2021.08.08 |
[알기쉬운 불교] 93. 사원건물의 단청과 벽화 등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 (0) | 2021.08.08 |
[알기쉬운 불교] 92. 사찰 안의 부도전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0) | 2021.08.08 |
[알기쉬운 불교] 91. 법당 안의 신중단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0) | 2021.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