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입문 8

[알기쉬운 불교] 197. 노사간의 대립에 대해 불교인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사회가 형성되려면 여러 계층에 여러 역할이 달리 주어져야 합니다. 개개인은 계층과 역할이 다르더라도 독특한 기능으로 사회의 일익을 담당하므로 사회의 어떤 역할도 우위로 둘 수 없이 모두 중요합니다. 기업의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업이 현실생활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존재해야 한다면 고용주와 고용인의 구분이 있게 되는 것은 순리입니다. 그러므로 기업과 고용주와 고용인의 관계는 어느 하나 소홀히할 수 없는 3박자의 관계가 되는 것입니다. 다만 고용주는 숫자적으로 적고 고용인은 국민 대다수를 점유하므로 노사대립의 경우 고용주는 다수의 여론과 요구를 절대 무시해서는 안되겠습니다. 노사관계는 계급적 관계가 아닙니다. 어느 한 역할도 절대적 위치가 될 수 없습니다. 고용인이 없으면 생산 자체가 마비되며 고용주..

불교 입문 2021.08.17

[알기쉬운 불교] 176. 절에 너무 자주 간다고 남편이 싫어하는데

절에 가도 되나 너무 자주 간다고 싫어하는 남편이라면 우선은 절에 가는 것에 대하여 그다지 반대하는 분은 아닙니다. 남편 생각에 조금 지나친 듯하여 그러한 것같습니다. 그러면 과연 남편은 무엇 때문에 절에 지나치게 간다고 하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절에 자주 가는 일로 인하여 빠뜨리거나 소홀히 한 일은 없습니까. 가사나 자녀, 부모공양 등의 여러 문제에서 혹은 상의할 일이 있을때 아내가 절에 가고 없어서 서운하게 했던 점은 없었는지 곰곰히 그 원인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대개는 몇 가지 사소한 일이 계속 쌓여서 싫다는 감정을 불러 일으켰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평소의 행동을 잘 생각해보아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면 일차적인 문제해결이될 것입니다. 두번째로는 남편과 함께 절에 갈 수 있도록 노력합시다. ..

불교 입문 2021.08.16

[알기쉬운 불교] 152. 간화선과 묵조선은 무엇이며 어떻게 다른가

마음을 통일하여 잡념을 일으키지 않아 자기의 참모습을 볼 수 있는 견성(見性)이 불교의 궁극 목적이므로 선은 자신의 본성에 의지하고 귀의하여 부처님과 동등한 입장이 되고자 하는 수행입니다. 이런 입장에서 선가에서는 문자를 세우지 않는다는 불립문자(不立文字)와 경전의 가르침 외에 달리 전한다는 교외별전(敎外別傳)과 직접 사람의 마음을 더듬어 들어간다는 직지인심(直指人心)을 도의 내용으로 표방한 것입니다. 선가의 초조 달마대사로부터 혜가, 승찬, 도신, 홍인선사를 걸쳐 6조 혜능대사 때에는 선사상의 전성기를 이룹니다. 혜능 이후에 법통은 회양, 마조, 백장, 황백 다음에 임제선사로 이어지는데, 임제선사는 처음으로 수선법의 공안을 제자들에게 주었다고 합니다. 간화선(看話禪)은 수행방법에 있어서 공안(公案)을 ..

불교 입문 2021.08.14

[알기쉬운 불교] 151. 참선을 하려고 하면 자꾸만 망상이 일어나는데

처음 참선을 할 때에는 깨달음을 위한 문제가 주어집니다. 이 문제를 바로 화두(話頭)라고도 하고 공안(公案)이라고도 합니다. 화두와 공안의 특징은 깨달음이란 불도수행의 목적이자 진리 자체의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방편적인 비유나 이것저것을 비교분석하는 분별심으로는 접근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화두나 공안은 탐하고 싶은탐심과, 탐하려는 대상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화가 끓는 진심과, 어리석은 무지를 낳는 치심을 가라앉히고 원래 갖춘 청량한 불성이 드러나게끔 하는 근본질문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참선을 할때에는 화두나 공안에 충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의 마음은 이미 오래전부터 훈습된 나에 대한 집착과 바라보는 대상에 대한 집착으로 쉽게 번뇌망상이 없어지지 않습니다. 마음이 안정되지 않을 경우에..

불교 입문 2021.08.14

[알기쉬운 불교] 19. 석가모니부처님의 사리탑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부처님이 사셨던 나라 인도에서는 옛부터 사람이 죽으면 화장을 하는 관습과 더불어 타고 남은 유골을 수습하여 숭배하는 유골숭배의 풍습이 있었습니다만, 석가모니부처님께서 45년간의 중생구제와 진리 전파를 위한 일생을 마치고 쿠시나라에서 입멸(入滅)에 드시 자부처님의 장례도 재가신자들에 의해 인도의 전통예식대로 화장으로 치뤄졌습니다. ​ 그것은 부처님께서 돌아가시기 전에 부처님의 제자인 출가수행자들은 부처님의 장례 같은 일에는 관여하지 말고 오로지 진리탐구에만 힘쓰라고 유언하셨기 때문이었습니다. ​ 그래서 쿠시나라에 살던 말라족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부처님의 장례를 치르고나자 이번에는 부처님의 유골을 처리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 뒤늦게 부처님의 입멸소식을 전해들은 여러 나라의 왕들이 각기 생전의 부처님과의..

불교 입문 2021.03.29

[알기쉬운 불교] 18. 석가모니부처님은 성도 후 어떤 생활을 하셨나

보리수 아래에서 최고의 진리를 깨닫고 부처님이 되신 석가모니 부처님은 그 이후 인류역사상 유례가 없을 만큼 완벽하고도 완전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셨습니다. ​ 흔히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의 내용이 무엇인가 하는 의문들이 많습니다만, 깨달음이야말로 부처님을 부처님일 수 있게 한 것이라면 우리들은 그 깨달음의 내용을 다름아닌 부처님의 삶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 그러면 석가모니부처님은 부처님이 되신 후 어떤 생활을 하셨을까요. 경전에 의하면 석가모니부처님은 깨달음을 이룬 직후에 잠시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펴지 않을 생각을 하셨다고 합니다. ​ 왜냐하면 당신이 깨달은 진리는 너무도 깊고 미묘한 것이어서 온갖 욕망에 사로잡혀 있는 일반인들은 얘기해봐야 알아듣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

불교 입문 2021.03.26

[알기쉬운 불교] 17. 석가모니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란 어떤 것인가

석가모니부처님은 일찌기 보리수 아래에서 우주와 인생을 관철하는 궁극적인 진리 즉, 영원하고도 보편타당한 최고의 이치를 깨닫고 비로소 부처님이 되셨다고 합니다만, 그때 석가모니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란 과연 어떤 것이었을까요. ​ 다시 말해 석가모니부처님은 무엇을 깨달아 인류역사상 유례가 없는 최고의 성자 즉, 부처님이 되신 것일까요. ​ 예로부터 불교에서는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의 내용이 무엇이었나 하는 것만큼 중요한 논제가 없었습니다. ​ 불자들의 궁극적인 목적이 부처님과 같은 깨달음을 이루어 스스로도 부처가 되는 것인 만큼,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의 내용을 밝히는 것 그 자체가 이미 불교수행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는 경전들에는 깨달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불교 입문 2021.03.25

[알기쉬운 불교] 16. 석가모니부처님은 왜 모든 것을 버리고 출가하셨나

석가모니부처님은 일찌기 29세라는 젊으나 젊은 나이에 한 나라의 태자 자리를 위시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모든 권한과 장래, 재산, 심지어는 사랑하는 부모처자까지도 버리고 출가하여 정처없이 떠돌며 누더기로 몸을 감싸고 걸식으로 연명하는 수행자가 되셨습니다. ​ 그러면 그 무엇이 석가모니부처님을 그와 같이 유리걸식하는 출가수행자가 되도록 내몰은 것일까요. ​ 부처님은 왜 자신의 처지나 환경에 만족하지 못하고 세상사람들이 보기에는 비정상적이라고까지 할만한 삶의 길을 선택했을까요. ​ 석가모니부처님의 출가동기에 대해서는 옛부터 사문유관(四門遊觀)이라 하여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오고 있습니다. ​ 즉 부처님은 태자 시절 동서남북의 네 대문 밖으로 유람을 나간 적이 있었는데, 거기에서 각기 추하게 늙어버린 노인과 ..

불교 입문 2021.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