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 참선을 할 때에는 깨달음을 위한 문제가 주어집니다.
이 문제를 바로 화두(話頭)라고도 하고 공안(公案)이라고도 합니다.
화두와 공안의 특징은 깨달음이란 불도수행의 목적이자 진리 자체의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방편적인 비유나 이것저것을 비교분석하는 분별심으로는 접근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화두나 공안은 탐하고 싶은탐심과, 탐하려는 대상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화가 끓는 진심과, 어리석은 무지를 낳는 치심을 가라앉히고 원래 갖춘 청량한 불성이 드러나게끔 하는 근본질문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참선을 할때에는 화두나 공안에 충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의 마음은 이미 오래전부터 훈습된 나에 대한 집착과 바라보는 대상에 대한 집착으로 쉽게 번뇌망상이 없어지지 않습니다.
마음이 안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더욱 더 망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특히 처음 참선수행할 때에는 더욱 번뇌망상이 많이 일어나서 참선공부가 힘들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참선수행은 불도의 참다운 이치인 진여의 세계 속으로 바로 들어가는 길이므로 수행방법만 옳게 유지한다면 망상 또한 쉽게 가라앉습니다.
대개 망상은 탐·진·치의 삼독심과 과거에대한 회상과 집착, 또는 사리에 맞지 않는 환상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계속 망상이 들끓어 수행에 장애를 주면 일단 불교교학적 측면에서 마음과 의식과 분별심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먼저 공부하고 참선공부를 해도 좋은 것입니다.
중생이 범부로서 깨닫지 못하고 계속 번뇌를 낳는 미혹에 머무르는 것은 법에 대한 무지에서 생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불법에 대한 공부와 마음을 닦는 참선수행을 함께 한다면 오히려 지혜가 밝아져 사리분별의 망상을 쉽게 잠재울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153. 화두란 무엇이며 어떻게 받는 것인가 (0) | 2021.08.14 |
---|---|
[알기쉬운 불교] 152. 간화선과 묵조선은 무엇이며 어떻게 다른가 (0) | 2021.08.14 |
[알기쉬운 불교] 150. 방하착하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 (0) | 2021.08.12 |
[알기쉬운 불교] 149. 참선을 할 때 올바른 호흡방법은 무엇인가 (0) | 2021.08.12 |
[알기쉬운 불교] 148. 참선을 할 때 올바른 자세는 무엇인가 (0) | 202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