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을 하는 것은 몸과 마음을 안정시켜 진리 그 자체를 보는 수행방법입니다.
법 자체를 직접 보고 자신의 원래의 참모습을 찾는 참선은 일상적으로 항상 하면서도 의식하지 못하는 호흡을 한결같이 하여 의식의 안정을 취하는 것이므로 무엇보다도 호흡방법이 중요합니다.
호흡을 하면서 끊임없는 번뇌망상을 잠재우고 의식 깊은곳에 숨어 있는 맑고 청정한 깨달음의 성품을 발견해 나가는 것이 참선수행입니다.
그러므로 올바른 호흡방법은 깨달음의 성품을 보는데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좌선입정중의 호흡에 대해서는 풍(風),천(喘), 기(氣), 식(息)의 네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식의 호흡방법이 올바른 좌선방법입니다.
즉 숨소리도 없고 거칠지도않고 숨쉰다는 의식도 없는 상태에서 하는 호흡입니다.
이렇게 하려면 먼저 정신을 아랫배에 집중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호흡을 한두번 토해낸 다음에 이어 서서히 들이쉽니다.
고르고 깊은 호흡이 되도록 힘쓰며 다 들이쉰 다음에는 잠시 멈추었다 서서히 코로 토해냅니다.
특히 호흡할 때는 무리해서는 안되며 생각과 힘이 호흡과 함께 움직여야 합니다.
호흡의 속도는 각자의 편한 속도로 맞추되 처음의 의식적 호흡에서 무의식적 호흡으로 바꾸어가야 합니다.
숨을 들이쉴 때는 비교적 천천히 하면서 내쉴 때는 단전에서 배로 가슴으로 향해 코로 토해냅니다.
숨은 단전까지 들이마셔야 하지만 억지로 힘을 주지 말아야 하며 들이쉰 숨도 부자연스럽게 오래 머무르게 하거나 빠르게 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호흡방법을 계속하면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다가 점차로 안정을 찾게 됩니다.
그리하여 호흡에 집중하여 참선을 하고 이것이 익숙해지면 스스로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올바른 호흡이 되므로 정신이 점차 안정되게 됩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151. 참선을 하려고 하면 자꾸만 망상이 일어나는데 (0) | 2021.08.14 |
---|---|
[알기쉬운 불교] 150. 방하착하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 (0) | 2021.08.12 |
[알기쉬운 불교] 148. 참선을 할 때 올바른 자세는 무엇인가 (0) | 2021.08.12 |
[알기쉬운 불교] 147. 참선이란 무엇이며 어떤 유래가 있나 (0) | 2021.08.12 |
[알기쉬운 불교] 146. 경전을 독송하기 전에 외우는 정구업진언의 의미는 (0) | 202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