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하착(放下着)은 손을 내려 밑에 둔다는 뜻입니다.
이 말의 뜻은일상적인 단순한 행동을 나타내지만 선가에서 화두로 쓰였습니다.
원래는 오등회원(五燈會元)》 〈세존장(世尊章)〉의 일화에서 방하착이라는 용어가 나옵니다.
흑씨범지(黑氏范志)가 합환(合)한 오동꽃을 받들어 세존께 공양하자 부처님께서 범지를 불러 '방하착하라'고 말씀하셨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방하착을 단순히 손을 내려놓으라는 의미에서 범지에게 말씀하신 것은 아닐 것입니다.
꽃을 공양했다는 집착된 마음마저 내려놓으라는 말씀일 것입니다.
이러한 방하착의 의미가 선종에서는 막다른 질문으로 던저져 깨달음으로 직입할 수 있는 실마리인 화두로 쓰였습니다.
조주선사를 찾아간 한 선사가 묻길 ‘한 물건도 가지고 오지 않을 때는 어찌합니까' 하니 조주선사께서는 '방하착하라' 하셨습니다.
선사께서되물어 '이미 한 물건도 가져오지 않았는데 또 무엇을 내려놓으란 말입니까' 하자 조주선사께서 ‘방하하지 말고(내려놓지 말고) 다시지고 가거라 하셨습니다.
그때 선사는 크게 깨달았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방하착의 의미는 언어를 떠난 의단이므로 말로 풀 수 없는것이나 굳이 세속적인 말을 사용하여 풀이한다면 이미 한 물건은 물건 그 자체에 공성인 법성을 담고 있으므로 내려놓을 것도 가져갈 것도 없다는 뜻입니다.
또한 원만하고 원융무애하므로 내려 놓을수도 가져갈 수도 있는 것입니다.
선사는 이미 없는 한 물건을 내려놓으라고 하고 다시 지고 가라고 하는 방하와 불방하의 의미 속에서 진정한 한 물건에 대해 깨친 것입니다.
그러므로 선을 닦는 불자들은 화두를 받아 의단을 낼 때 한 물건이라도 어떠한 한 물건인지 논리적 의단에서 화두를 잡아야 합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152. 간화선과 묵조선은 무엇이며 어떻게 다른가 (0) | 2021.08.14 |
---|---|
[알기쉬운 불교] 151. 참선을 하려고 하면 자꾸만 망상이 일어나는데 (0) | 2021.08.14 |
[알기쉬운 불교] 149. 참선을 할 때 올바른 호흡방법은 무엇인가 (0) | 2021.08.12 |
[알기쉬운 불교] 148. 참선을 할 때 올바른 자세는 무엇인가 (0) | 2021.08.12 |
[알기쉬운 불교] 147. 참선이란 무엇이며 어떤 유래가 있나 (0) | 202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