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3

[알기쉬운 불교] 235. 사십이장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은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최초로 한역되었고 당시의 황제를 비롯하여 지식인들이 널리 연구하고 수지독송했다고 전하는 경전입니다. 특히 중국 송나라 이후 선종에서는 일상생활의 교훈서로서 대단히 중요하게 여겨왔다고 합니다. 《사십이장경》은 원래 하나의 독립된 경전이 아니라 《아함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서 42가지 덕목을 발췌하여 엮은 경전입니다. 그리고 각 장마다 알기 쉽게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 것이 이 경의특징입니다. 《아함경》이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 등의 문제를 주로 설하여 나에 대한 집착과 대상에 대한 집착을 버리게 하는것과 같이 이 경에서도 역시 이와 같은 문제들이 중심이 되어 탐욕을 끊고 애욕을 버리는 정신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해서 흐르고있습니다...

불교 입문 2021.08.20

[알기쉬운 불교] 231. 아함경이란 어떤 경전이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아함이란 인도의 옛말 아가마를 소리나는 대로 번역한 것으로 ‘전해옴'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부처님의 말씀으로 전해오는 권위있는 경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함경 (阿含經)》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원래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법화경》이나 《화엄경》 《반야경》의 사상의 뿌리도 이 《아함경》에 있습니다. 모든 불교교리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5온(五蘊), 12처(十二處), 18계(十八界), 12연기(十二緣起) 등의 초기교설은 아함경 안에서 무수히 반복되면서 설해지고 있는 내용입니다. 더구나 실제적이고 일상적인 교훈을 알기 쉬운 비유나 문답 형식으로 담아 이해하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중생 개개인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 그 대상에 ..

불교 입문 2021.08.19

[알기쉬운 불교] 156. 심우도란 그림으로 참선공부의 과정을 설명하던데

심우도(尋牛圖)란 십우도(十牛圖)라고도 하며 마음을 닦는 일을 소먹이는 일에 비유한 그림입니다. 십우란 ① 심우(尋牛) ② 견적(見蹟) ③ 견우(見牛) ④ 득우(得牛) ⑤ 목우(牧牛) ⑥ 기우귀가(騎牛歸家) ⑦ 망우존인(忘牛存人) ⑧ 인우구망(人牛俱) ⑨ 반본환원(返本還源) ⑩ 입전수수(入塵垂手) 를 말합니다. 선종에서 자기의 본심을 발견하여 깨달음에 이르기까지를 10가지의 비유로 설명한 것으로, 특히 본심을 소로 비유하고 있습니다. 첫째 심우는 소를 찾는다는 뜻으로 처음 보리심을 내는 것입니다. 소의 자취를 보고난 후 소를 보고 소를 얻어서 소를 길러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온다는 내용을 담은 둘째 견적과 셋째 견우와 넷째 득우와 다섯째 목우와 여섯째 기우귀가는 수행의 과정을 나타냅니다. 일곱번째 소를 ..

불교 입문 2021.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