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불자다 2

[알기쉬운 불교] 151. 참선을 하려고 하면 자꾸만 망상이 일어나는데

처음 참선을 할 때에는 깨달음을 위한 문제가 주어집니다. 이 문제를 바로 화두(話頭)라고도 하고 공안(公案)이라고도 합니다. 화두와 공안의 특징은 깨달음이란 불도수행의 목적이자 진리 자체의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방편적인 비유나 이것저것을 비교분석하는 분별심으로는 접근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화두나 공안은 탐하고 싶은탐심과, 탐하려는 대상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화가 끓는 진심과, 어리석은 무지를 낳는 치심을 가라앉히고 원래 갖춘 청량한 불성이 드러나게끔 하는 근본질문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참선을 할때에는 화두나 공안에 충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의 마음은 이미 오래전부터 훈습된 나에 대한 집착과 바라보는 대상에 대한 집착으로 쉽게 번뇌망상이 없어지지 않습니다. 마음이 안정되지 않을 경우에..

불교 입문 2021.08.14

[알기쉬운 불교] 19. 석가모니부처님의 사리탑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부처님이 사셨던 나라 인도에서는 옛부터 사람이 죽으면 화장을 하는 관습과 더불어 타고 남은 유골을 수습하여 숭배하는 유골숭배의 풍습이 있었습니다만, 석가모니부처님께서 45년간의 중생구제와 진리 전파를 위한 일생을 마치고 쿠시나라에서 입멸(入滅)에 드시 자부처님의 장례도 재가신자들에 의해 인도의 전통예식대로 화장으로 치뤄졌습니다. ​ 그것은 부처님께서 돌아가시기 전에 부처님의 제자인 출가수행자들은 부처님의 장례 같은 일에는 관여하지 말고 오로지 진리탐구에만 힘쓰라고 유언하셨기 때문이었습니다. ​ 그래서 쿠시나라에 살던 말라족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부처님의 장례를 치르고나자 이번에는 부처님의 유골을 처리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 뒤늦게 부처님의 입멸소식을 전해들은 여러 나라의 왕들이 각기 생전의 부처님과의..

불교 입문 202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