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불교의 자랑이라고 할 수 있는 삼보사찰은 각각 불법·승의 삼보를 상징하는 사찰입니다.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창건한 양산 통도사는 부처님 몸에서 나온 사리와 가사가 모셔져 있는 불보사찰입니다.
부처님께서 설법하시던 인도 영취산의 맑은 기운이 그대로 통한다 하여 통도(通道)라 이름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모든 사람들을 구제한다는 뜻에서 통도사라 합니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이 법당 뒤에 있으므로 우리나라 불보종찰인 통도사 대웅전에는 따로 불상을 모시지 않습니다.
신라시대 순응, 이정 두스님이 창건하였다는 합천 가야산의 해인사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경전을 목판에 새겨놓은 고려대장경을 모시고 있는 법보사찰입니다.
해인(海印)이란 모든 사물의 그림자가 넓고 큰 바다에 거울처럼 두루 비치듯이 부처님의 드넓은 지혜의 바다에 온갖 법이 나타난다는 뜻입니다.
해인사 장경각에는 고려대장경판이 여러 차례 화재에도 불구하고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해인사는 부처님의 일대설법을 모신 곳 즉, 법보종찰이므로 대장경각은 대웅전 뒤 제일 높은 위치에 모셔져 있습니다.
신라시대 혜린선사가 창건하였다는 승주군 조계산의 송광사는 옛부터 덕높은 국사를 많이 배출하여 그 국사들의 영정을 모신 승보사찰이라 합니다.
송광(松廣)이란 송광사가 자리잡고 있는 조계산에서 열여섯 분의 훌륭한 스님이 나와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폈다는 전설에서 유래하고 있습니다.
고려시대 보조국사 이후 진각, 청진, 진명국사 등 열여섯 분의 영정이 국사전에 모셔져 있습니다.
국민과 나라에 큰 가르침을 펴신 스님들이 많이 나오신 곳이므로 송광사를 승보종찰이라 부르며 대웅전 뒤에는 종사가 설법하는 설법전 즉, 승보전이 있습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100. 합장은 어떻게 하며 무슨 의미가 깃들어 있나 (0) | 2021.08.08 |
---|---|
[알기쉬운 불교] 99. 우리나라 5대보궁은 어떤 곳들인가 (0) | 2021.08.08 |
[알기쉬운 불교] 97. 卍은 무엇이며, 그밖의 불교상징물에는 어떤 것이 있나 (0) | 2021.08.08 |
[알기쉬운 불교] 96. 발우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나 (0) | 2021.08.08 |
[알기쉬운 불교] 95. 염주는 어떻게 사용하며 어떤 것들이 있나 (0) | 2021.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