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ㆍ말ㆍ행동 모두 바를 때 깨달음 얻어
마음공부는 계정혜(戒定慧)의 삼학(三學)으로 해야 합니다. 계율을 청정하게 지켜 마음을 다잡으면서 선정에 들어야 합니다.
〈수능엄경(首楞嚴經)〉에서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아난에게 수능엄정(首楞嚴定)에 드는 방법을 자세히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이 경에서 설하는 여러 가지 방법 가운데 관세음보살님은 이근원통(耳根圓通)으로 마구니를 물리치고 수능엄정(首楞嚴定)을 이루어 진심을 찾았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근원통의 방법이 여러 수행법 가운데 가장 수승한 것입니다.
🙏🙏🙏🙏🙏🙏🙏🙏🙏🙏🙏🙏🙏🙏🙏
✅ 불교 커뮤니티 '나는 불자다'에 놀러오세요~
https://cafe.naver.com/iambulja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입문 113 - 관세음보살의 수행(29) (0) | 2025.03.08 |
---|---|
불교입문 112 - 관세음보살의 수행(28) (0) | 2025.03.08 |
불교입문 110 - 관세음보살의 수행(26) (0) | 2025.03.08 |
불교입문 109 - 관세음보살의 수행(25) (0) | 2025.03.08 |
불교입문 108 - 관세음보살의 수행(24)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