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은 본래 석가모니부처님 당시부터 행해져온 불교의 전통적수행법 가운데 하나로서, 불교수행의 기본원리를 계·정·혜의 삼학으로 나누어본다면 정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즉 계가 일종의 행위규범으로서 올바른 도덕률에 따라 행실을 바르게 함으로써 몸과 마음을 적절히 조율하는 것이고 혜가 올바른 관찰법에 의해 세계와 인생을 바라보는 지혜의 눈을 기르는 것인데 비해 정은 말 그대로 자세나 호흡 등의 조절을 통해 마음을 가라앉히고 번뇌망상을 잠재우는 수행법입니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들에게 전승되고 있는 참선은 이와 같은 부처님 당시부터의 선정수행에 중국에서 발달한 선종의 사상적 측면이 첨가된 것으로서, 참선수행 그 자체가 마음을 관조하여 곧바로 우주와 인생에 스며 있는 절대의 진리를 발견하고부처를 이루는 길이라고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