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불교에서는 음력 10월 보름부터 정월 보름까지와 4월보름부터 7월 보름까지 일년에 두 차례를 각각 동안거(冬安居)와 하안거(夏安居)라고 해서 스님들이 산문 출입을 자제하고 수행에만정진하는 기간으로 삼고 있습니다만, 이와 같은 안거제도는 본래 석가모니부처님 당시에서부터 유래된 것이었습니다.
즉 출가수행자들은 어느 한 곳에 머무는 일 없이 유행(遊行)하면서 생활하는 것이원칙이었지만, 인도에서는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우기가 되면 땅속의 작은 생물들이 기어나오기 때문에 길을 걸어다니다보면 그것들을 밟아죽일 염려가 있고 또 교통도 불편한데다가 각종 나쁜 질병들이 나도는 경우도 있어 유행하기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그래서부처님께서 제자들의 제안을 받아들여 우기의 3개월간은 유행을 중지하도록 설하신 것이 안거의 시작이었습니다.
따라서 이 기간동안은 일정한 장소에 모여 공부와 수행에만 전념하며, 특히 안거의 마지막 날에는 자자(自)라는 독특한 참회의식을 거행하는 것이 승가의 전통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안거의 풍습은 그후 부유한 재가신자나 왕족들이 건물이나 토지 등을 희사함으로써 스님들이한 곳에 정착해서 생활하는 사원이 출현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고, 또 각지로 돌아다니던 스님들이 주기적으로 모여서 계율이나 승단의 제도 등을 정비하는 기회가 되기도 했습니다.
말하자면 안거제도를 통해 화합과 합의를 터전으로 하는 승가의 결속력을 재확인하고 승가 고유의 전통을 지켜올 수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후조건에 따라 여름 석달과 겨울 석달 동안을 안거기간으로 삼게되었는데, 이같은 안거를 시작하는 것을 결제(結制)라 하고 끝내는것을 해제(解制)라고 합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53. 스님들의 호칭 중 선사, 종사, 율사 등의 의미는 (0) | 2021.08.05 |
---|---|
[알기쉬운 불교] 52. 스님들의 대중생활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0) | 2021.08.05 |
[알기쉬운 불교] 50. 나라마다 스님들의 생활방식이 크게 다른 이유는 (0) | 2021.08.05 |
[알기쉬운 불교] 49. 스님들은 일체의 생산활동을 하면 안된다는데 (0) | 2021.08.05 |
[알기쉬운 불교] 48. 스님들의 계율이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있나 (0) | 202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