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경 2

[알기쉬운 불교] 127. 재가신자들이 집에서 행할 수 있는 수행에는 무엇이 있나

집에서 행하는 재가신자의 수행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볼수 있습니다. 즉 일정한 형식을 갖춘 수행과 일상생활에서 하게 되는 수행이 있으며, 일정한 형식을 갖춘 수행이란 염불, 독경, 절, 참회와 기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형식없이 일상생활에서 하게 되는 수행은 예를 들면 자비, 보시, 인욕 등이 있습니다. 먼저 일정한형식을 갖춘 수행은 특별히 일과시간을 정하여 하게 됩니다. 즉 삼귀의, 예경, 염불, 독경, 발원, 좌선 등을 시간과 장소를 정하여 규칙적으로 수행합니다. 매일의 수행일과가 이런 성격의 것이므로 그시간은 하루의 시작인 아침이나 마무리 시간인 자기 전 시각이 종을 것입니다. 아침의 기도는 그날 하루의 생활에 보람을 더하고 자기 전 기도는 잠든 시간에라도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게 합니다. ..

불교 입문 2021.08.10

[알기쉬운 불교] 109. 예경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부처님께 예경하는 첫번째의 단계가 절입니다. 절은 겸손한 마음과 경건한 마음의 표시입니다. 따라서 절을 하는 것은 바로 교만하기 쉬운 자신의 마음을 항복받는 것이며, 진정한 의미에서 자기 자신의 참나에게 공경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간혹 어떤 종교에서는 형상에 대해 절을 하는 것을 우상숭배라 합니다. 그러나 불상이나 어떤 성현의 초상에 절을 하는 것은 우상숭배가 아니며 부처님의 거룩한 존상과 자비와 지혜가 자기 자신의 심경 즉, 마음의 거울에 자신을 비추는 것이며, 성현들의 가르침을 경건한 뜻으로 받아들여 기억시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절에 가면 부처님 앞에 절을 세번 올리게 됩니다. 이것은 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잘못을 뉘우치고 청정하게 하겠다는 뜻으로 절을 하며, 불·법·승 삼보께 귀의한다는 뜻으로..

불교 입문 2021.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