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가 삼보께 올리는 절은 오체투지(五體投地)라고 합니다. 이것은 신체 가운데 머리, 다리, 팔, 가슴, 배의 다섯 부분을 땅에 닿도록 납작하게 엎드려 절하는 인도식 예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원래 인도의 예법에서는 접족례(接足禮)라 하여 온몸을 땅에 던져 절을 하면서 공경하는 이의 발을 두 손으로 떠받들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행하는 오체투지는 전통적인 큰절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되 반드시 몸의 다섯 부분인 양 팔꿈치와 양 무릎 및 이마가 바닥에 닿아야 합니다. 오체투지의 예는 자신을 무한히 낮추면서 상대방에게 최대의 존경을 표하는 몸의 동작으로서 가장 경건한 예법입니다. 부처님께 오체투지의 큰절을 할 때에는 삼배라고 해서 세번 반복하며 스님께는 한번만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삼배를 할 때에는 먼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