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입문

[알기쉬운 불교] 161. 참선과 오늘날 유행하는 명상수련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나는불자다 2021. 8. 15. 18:17

 

인도는 먼 옛날부터 인간의 내면세계에 깊이 침잠하여 평소 현실생활에서 체험할 수 없었던 초월적 경지나 진리 등을 탐구하는 요가나 명상의 수련이 널리 행해지던 나라로서, 석가모니부처님이 창시하신 불교도 넓게는 그와 같은 문화적 토양 위에서 성립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그러한 인도의 정신문화는 오늘날까지도 면면히 계승되어 우리들에게도 잘 알려진 크리슈나무르티나 라즈니쉬, 마하리쉬 등의 성자들이 자신들의 가르침을 전파하며 전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불교의 참선수행과 오늘날 우리 사회의 일각에서도 유행하고 있는 요가나 명상수련은 그 뿌리에 있어서 동일한 것이며 유사한 면도 대단히 많이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교가 인도라는 문화적 전통에 기반하여 성장했다고는 할지라도 인도의 전통사상들과는 분명히 다른 사상과 수행법을 지니고 있는 것처럼 이들 인도적 전통에서 출발한 여러 수행법들이 그대로 불교 고유의 수행방법인 참선과 같은 것은 아닙니다.

 

다시 말해 호흡을 조절하는 방법이나 앉는 자세 등에 흡사한 점들이 많고 정신의 집중을 중요시하는 면 등이 비슷한 것 같아도 참선과 요가수련 사이에는 엄격히 불교와 인도의 다른 사상들 만큼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흔히 불교사상의 독자적 특성이 삼법인(三法印)이라 하여 모든 것은 끊임없는 변화의 과정 속에 있고 세상만물에는 독자적인 실체랄 것이 없으며 탐욕과 무지에 뒤덮혀 무비판적으로 살아가는 우리 인생의 현실은 괴로움일 수밖에 없다는데 있는 것처럼 참선수행도 그와 같은 인식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수행과정상에 나타는 여러 현상이나 경지에 집착하거나 그것을 절대시하지 않는 것이 참선의 독특한 면이라 하겠습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http://iambulj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