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齋)란 원래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을 말합니다만 불교에서는 열심히 수행하는 것, 혹은 법회에 사용한 공양물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불교에서의 재일이란 부정한 것을 멀리 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여러 부처님과 보살님들께 공양을 올리는 정기적인 날을 뜻합니다.
오늘날에는 매달 10가지 재일을 지키고 있습니다.
10가지 재일은 다음과 같으며 날짜는 음력으로 지킵니다.
1일은 정광불재일(正光佛齋日), 8일은 약사불재일(藥師佛齋日), 14일은 현겁천불재일(現劫千佛齋日), 15일은 아미타불재일(阿彌陀佛齋日), 18일은 지장보살재일(地藏菩薩齋日), 23일은 대세지보살재일(大勢地菩薩齋日), 24일은 관세음보살재일(觀世音菩薩齋日), 28일은 노사나불재일(盧舍那佛齋日), 29일은 약왕보살재일(藥王菩薩齋日), 30일은 석가모니불재일(釋迦牟尼佛齋日)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10가지 재일 중에서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특히 많이 지켜지고 있는 재일은 24일의 관음재일과 18일의 지장재일입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지옥중생을 구원의 길로 인도하는 지장보살과 중생들의 모든 소망을 이루어주는 관세음보살이 대중과 무척 긴밀한 관계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관음재일이나 지장재일의 의식은 천수경을 독송하고 각각 관음예문과 지장예문, 그리고 정근과 발원의 순으로 행해집니다.
관음재일에는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관세음보살의 자비를 구하는 예문과 정근을 합니다.
지장재일에는 돌아가신 분을 위한 발원과 정근을 합니다.
즉 돌아가신 영가의 왕생극락을 기원하는 것입니다.
재일의 의식도 수행의 한 방편이므로 여러 재일에 행하는 의식은 바로 불교신행과 직결되어 업장이 소멸되며 그 공덕이 자신과 가족 및 조상에게 돌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114. 초파일에 행하는 연등행사는 어떻게 유래되었나 (0) | 2021.08.09 |
---|---|
[알기쉬운 불교] 113. 불교의 사대명절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0) | 2021.08.09 |
[알기쉬운 불교] 111. 불공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0) | 2021.08.09 |
[알기쉬운 불교] 110. 조석예불은 무엇이며 어떻게 행하나 (0) | 2021.08.09 |
[알기쉬운 불교] 109. 예경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0)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