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20

[알기쉬운 불교] 27. 부처님의 가르침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우주와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를 파헤쳐 참으로 올바른 삶, 참으로 가치있는 인생을 이루기 위한 부처님의 가르침은 현실에 대한 정확한 관찰에서부터 시작됩니다만, 불교에서는 예로부터 그와 같은 부처님 가르침의 가장 큰 특징을 삼법인(三法印)이라 하여 다음의 세가지로 요약해왔습니다. 즉 그 첫번째는 제행무상(諸行無常)으로서, 이 세상 모든 현상은 덧없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뜻으로서, 우리도 언젠가는 죽어갈 것처럼 일체 모든 존재는 끊임없는 변화의 과정 속에 놓여 있다는 것이 불교의 첫번째 진리입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제법무아(諸法無我)로서, 세상만물에는 독자적인 실체랄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들은 모든 사물들에 나름대로의 본성이라는 것이 있어 그것이 그 사물을 다른 ..

카테고리 없음 2021.08.04

[알기쉬운 불교] 26. 석가모니부처님은 어떤 방법으로 제자들을 가르치셨나

이 세상 모든 이들에게 진정한 안락과 행복의 길을 열어보이기 위해서 가르침을 펴기 시작한 석가모니부처님은 제자들을 가르치는데도 위대한 인류의 스승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셨습니다. 상대의 입장을 충분히 헤아려서 그에 알맞는 가장 합리적이고도 이상적인 교화의 방법들을 채택하셨던 것입니다. 그러면 석가모니부처님이 주로 사용하셨던 교설의 방법들에는 어떤 것이 있었을까요. 첫째, 부처님은 설법을 하실 때 비유나 인연담을 많이 사용하셨습니다. 누구나 알아듣기 쉬운 비유나 설화들을 인용하여 상대가 빨리 이해할 수 있도록 하셨습니다. 둘째, 부처님은 가르침을 펴실 때 문답을 자주 사용하셨습니다. 대화를 통해 가르치면서 상대가 올바로 이해하고 있으면 그대로 긍정하기도 하고 틀렸으면 되묻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

불교 입문 2021.07.30

[알기쉬운 불교] 25. 석가모니부처님의 가르침의 근본입장은 어떤 것이었나

그 어떤 권위적인 가르침이나 절대자의 계시가 아니라 오로지 자신의 이성적인 판단과 의지적인 노력에 의해서 마침내 우주와 인생을 관철하는 그나큰 깨달음을 성취한 석가모니부처님은 이후 80세를 일기로 열반에 드실 때까지 45년간 인도 각지를 수없이 돌아다니며 당신이 깨달으신 진리를 전파하는데만 평생을 바치셨습니다. 그것은 진리에 대한 무지나 그릇된 욕망으로 인하여 스스로 고통받고 있는 중생들에게 올바른 삶의 의미와 참된 인생의 목적을 일깨워 진정한 안락과 행복의 길을 열어보이고자 노력하신, 참으로 완성된 삶을 사신 이의 거룩한 여정이었습니다. 그러면 석가모니부처님이 진리를 전파하는데 취하셨던 기본적인 입장은 무엇이었을까요. 다시 말해 석가모니부처님은 근본적으로 어떠한 입장에서 당신의 가르침을 베푸셨을까요. ..

불교 입문 2021.07.30

[알기쉬운 불교] 24. 불교는 부처님보다도 진리를 신봉하는 종교라는데

불교는 오로지 인간의 이성과 의지에만 기초하여 성립된 대단히 지적이고 합리적인 종교라고 합니다만, 그렇게 이야기할 수 있는 이유 중의 하나를 우리는 불교에서 가르치는 진리와 부처님의 관계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즉 불교에서 말하는 진리란 우주와 인생에 깃들어 있는 영원하고도 보편타당한 절대이치로서, 그것은 부처님이 계시든 계시지 않는 본래부터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상적 인격체인 부처님은 단지 그 진리를 깨달은 이로서, 교조 석가모니부처님의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누구나 그러한 진리를 깨닫기만 하면 부처님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불교의 기본입장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면에서 불교는 부처님이라는 인격체보다도 부처님이 부처님일 수 있는 존립근거 즉, 진리를 더욱 존중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경전..

불교 입문 2021.07.30

[알기쉬운 불교] 23.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법이란 무엇을 의미하나

불교에서는 법(法) 혹은 법보(法寶)라고 해서 진리를 부처님 및 교단과 더불어 삼보의 하나로 대단히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법 즉, 진리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불교에서 쓰는 법이란 말은 인도의 옛말 다르마를 한자로 번역한 것으로, 소리나는 대로 옮길 때는 달마(達磨)라고 합니다. 이 말은 본래 유지하는 것, 인간의 행위를 지키는 것 정도의 의미였는데, 인도에서는 관습, 습관, 의무, 사회제도나 질서, 착한 행위, 진리, 본질, 종교적 의무 등 대단히 다양한 의미로 쓰여졌습니다. 또 불교에서도법이라는 개념은 진리, 법칙, 행위규범, 바른 것, 사물이나 존재, 본성, 부처님의 가르침 등의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그러면 왜 이렇게 하나의 낱말에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의미가 포..

불교 입문 2021.07.29

[알기쉬운 불교] 22. 석가모니부처님 이외의 부처님들은 어떤 분인가

불교에서는 석가모니부처님 이외에도 많은 부처님들의 이름을 들고 있고, 또 사찰에서는 그런 부처님들의 상을 모시고 예배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석가모니부처님 이전 아득한 과거에 계셨다는 비바시부처님을 위시해서 시기부처님, 비사부부처님, 구류손부처님, 구나함모니부처님, 가섭부처님뿐 아니라 서방정토에 계신다는 아미타부처님, 미래세에 이 세상에 출현하실 것이라는 미륵부처님 등이 그런 분들입니다. 그러면 역사적으로 실재하셨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분은 석가모니부처님 뿐인데, 그 이외의 부처님들은 어떤 분들일까요. 우리들이 역사적인 입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불교의 창시자는 석가모니부처님이며, 그 이전에 계셨다는 부처님들이나 그밖의 다른 부처님들은 모두가 석가모니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해서 우리에게 알려지게 된 분들..

불교 입문 2021.07.29

[알기쉬운 불교] 21. 석가모니부처님의 전생이야기라는 것이 있던데

예로부터 인간의 삶은 그저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삶과 죽음을 거듭하면서 윤회(輪廻)하는 것이라고 믿어왔던 인도사람들은 성자나 위인들의 생애도 그저 한 생의 노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랜 생의 인연에 따라서 이루어진 결과라고 생각해왔습니다. 그러므로 석가모니부처님의 경우에도 고타마 싯닷타라는 한 인간으로 우리들 앞에 그 모습을 드러내기 이전에 오랜 동안 여러생을 전전하면서 선행을 쌓은 결과 그와 같이 위대한 인격자가 되었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거기에서 석가모니부처님의 전생이야기라는 것이 민간설화의 형식으로 만들어지고 사람들 사이에 유포되게 되었습니다. 《자타카》 혹은 《본생담(本生譚)》이라고 불리워지는 이 이야기들 속에서 석가모니부처님은 아득한 옛날부터 왕이나 왕자, 수행자, 상인 등의 인..

불교 입문 2021.07.29

[알기쉬운 불교] 20. 석가모니부처님의 팔상성도에는 어떤 뜻이 담겨 있나

불교에서는 옛부터 팔상(八相) 혹은 팔상성도(八相成道)라고 하여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해 석가모니부처님이 이 세상에서 나투셨던 모습들을 여덟 가지로 정리하여 설명해왔습니다. 학설에 따라서는 여덟 가지 항목이 약간씩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만, 이 자리에서는 그 대표적인 것을 골라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첫번째는 도솔내의상(兜率來儀相)으로, 석가모니부처님은 본래 도솔천에서 호명보살로 계시다가 적당한 때가 되자 이 세상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오셨다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으로, 룸비니동산에서 마야부인의 몸을 통해 이 세상에 태어나신 것을 일컫는 것입니다. 비람이란 룸비니를 뜻합니다. 세번째는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으로, 태자 시절에 성문 밖으로 유람나갔다가 생·노·병·사의 괴로움을 깨..

불교 입문 2021.07.29

[알기쉬운 불교] 19. 석가모니부처님의 사리탑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부처님이 사셨던 나라 인도에서는 옛부터 사람이 죽으면 화장을 하는 관습과 더불어 타고 남은 유골을 수습하여 숭배하는 유골숭배의 풍습이 있었습니다만, 석가모니부처님께서 45년간의 중생구제와 진리 전파를 위한 일생을 마치고 쿠시나라에서 입멸(入滅)에 드시 자부처님의 장례도 재가신자들에 의해 인도의 전통예식대로 화장으로 치뤄졌습니다. ​ 그것은 부처님께서 돌아가시기 전에 부처님의 제자인 출가수행자들은 부처님의 장례 같은 일에는 관여하지 말고 오로지 진리탐구에만 힘쓰라고 유언하셨기 때문이었습니다. ​ 그래서 쿠시나라에 살던 말라족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부처님의 장례를 치르고나자 이번에는 부처님의 유골을 처리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 뒤늦게 부처님의 입멸소식을 전해들은 여러 나라의 왕들이 각기 생전의 부처님과의..

불교 입문 2021.03.29

[알기쉬운 불교] 18. 석가모니부처님은 성도 후 어떤 생활을 하셨나

보리수 아래에서 최고의 진리를 깨닫고 부처님이 되신 석가모니 부처님은 그 이후 인류역사상 유례가 없을 만큼 완벽하고도 완전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셨습니다. ​ 흔히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의 내용이 무엇인가 하는 의문들이 많습니다만, 깨달음이야말로 부처님을 부처님일 수 있게 한 것이라면 우리들은 그 깨달음의 내용을 다름아닌 부처님의 삶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 그러면 석가모니부처님은 부처님이 되신 후 어떤 생활을 하셨을까요. 경전에 의하면 석가모니부처님은 깨달음을 이룬 직후에 잠시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펴지 않을 생각을 하셨다고 합니다. ​ 왜냐하면 당신이 깨달은 진리는 너무도 깊고 미묘한 것이어서 온갖 욕망에 사로잡혀 있는 일반인들은 얘기해봐야 알아듣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

불교 입문 2021.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