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서의 장례절차나 각종 천도재들은 죽은 이로 하여금 생전에 지어놓은 모든 악업이나 원한관계 등을 떨어버리고 청정한 마음을 회복하여 좋은 곳에 태어나도록 돕는다는 의미가 있습니다만, 그러한 모든 재례절차 가운데 일반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49재를 들 수 있습니다.
49재란 사람이 죽은지 49일째 되는 날에 지내는 재로서, 하필 49일째 되는 날 거행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유래가 있습니다.
즉 석가모니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윤회를 인정하고 있는 불교에서는 옛부터 사람이 죽은 후 다음 생을 받기 전까지의 과정이 상당한 관심의 대상이었고 그에 따라 여러 가지 학설들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견해가 사람이 죽으면 인연에 의해 다음 생을 받기까지 중유의 상태에 머물며 그 기간이 길어야 49일을 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죽은 사람의 영가에게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을 일깨워 깨달음을 구하는 마음을 내도록 하고 명복을 비는 일도 그 전에 행해야 하지만, 영가가 다른 모습으로 태어나는 날이 언제인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므로 죽은 이에 대한 추모의례를 최종적으로 49일째 되는 날 행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에는 죽은 사람이 이미 다른 세상에 살고 있으므로 그 사람에 대한 미련을 남기지 않는다는 것도 49재가 지닌 또 다른 의미라고 하겠습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사찰에서는 49재를 지내기 전에 7.7재라고 해서 7일에 한번씩 재를 지내는 경우도 있고 보름에 한번씩 재를 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이것은 물론 49일 안에 재를 지내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또한 100일재와 1주년, 2주년에 행하는 소상재와 대상재가 있는데, 이것은 효를 중시하던 유교적 관습이 불교에도 영향을 미쳐 생겨난 것입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127. 재가신자들이 집에서 행할 수 있는 수행에는 무엇이 있나 (0) | 2021.08.10 |
---|---|
[알기쉬운 불교] 126. 범패와 바라춤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0) | 2021.08.10 |
[알기쉬운 불교] 124. 천도재란 무엇이며 어떻게 진행되나 (0) | 2021.08.10 |
[알기쉬운 불교] 123. 상을 당했을 때 불교에서는 어떤 의식을 올려야 하나 (0) | 2021.08.10 |
[알기쉬운 불교] 122. 병이 났을 때 사찰에서 행하는 구병시식이란 무엇인가 (0) | 2021.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