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에서 행하는 재가신자의 수행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볼수 있습니다.
즉 일정한 형식을 갖춘 수행과 일상생활에서 하게 되는 수행이 있으며, 일정한 형식을 갖춘 수행이란 염불, 독경, 절, 참회와 기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형식없이 일상생활에서 하게 되는 수행은 예를 들면 자비, 보시, 인욕 등이 있습니다.
먼저 일정한형식을 갖춘 수행은 특별히 일과시간을 정하여 하게 됩니다.
즉 삼귀의, 예경, 염불, 독경, 발원, 좌선 등을 시간과 장소를 정하여 규칙적으로 수행합니다.
매일의 수행일과가 이런 성격의 것이므로 그시간은 하루의 시작인 아침이나 마무리 시간인 자기 전 시각이 종을 것입니다.
아침의 기도는 그날 하루의 생활에 보람을 더하고 자기 전 기도는 잠든 시간에라도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게 합니다.
그래서 깨어 있을 때나 잠들어 있을 때나 한결같은 수행을 기대하는것입니다.
생활사정상 조석시간이 어렵다면 그밖의 시간도 무방합니다. 다만 강조하고 싶은 것은 되도록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지켜가는 것이 좋습니다.
두번째로 일상생활에서 하게 되는 수행은 모든시간에 하는 것입니다.
자기 생명을 참되게 살아가는 것이 수행이라고 한다면 수행은 살아있는 시간이 전부 수행시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의 모든 일, 그리고 모든 사람에 대하여 언제나바라밀행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수행자가 지녀야 할 다짐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행하고 있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이며, 현재 만나고있는 사람이 가장 중요한 사람이며, 현재의 행동을 올바르게 하는것이 최대의 수행이라고 알고 그대로 행하는 것입니다.
불법수행은 생활하는 모든 시간에 항상 밝은 마음과 바른 말과 바른 행을 닦아감에 따라 매일매일의 생활을 복된 생활로 바꾸게 됩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129. 갓 태어난 신생아도 계를 받을 수 있나 (0) | 2021.08.10 |
---|---|
[알기쉬운 불교] 128. 재가신자들이 지켜야 하는 계율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0) | 2021.08.10 |
[알기쉬운 불교] 126. 범패와 바라춤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0) | 2021.08.10 |
[알기쉬운 불교] 125. 49재는 어떻게 지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0) | 2021.08.10 |
[알기쉬운 불교] 124. 천도재란 무엇이며 어떻게 진행되나 (0) | 2021.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