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율을 지키는 것은 부처님의 행 즉, 깨달음의 행을 닦아가는 것입니다.
부처님 행을 행하며 부처님 공덕을 마음에서 이루면 이것이깨달음으로 가는 올바른 수행이라 할 것입니다.
재가신자의 계율로서는 대표적인 것으로 오계와 칠불통계(七佛通戒), 삼귀의계(三歸依戒), 보살계(菩薩戒) 등이 있습니다.
오계는 첫째 생명을 존중하고 억압하거나 죽이지 말라는 것이고, 둘째 아낌없이 베풀어주고 결코 남의 물건을 빼앗지 말라는 것이며, 셋째는 청정행을 할 것이요 결코 사음을 하지 말며, 넷째는 진실한 말을 하고 결코 망령된 말을하지 말며, 다섯째는 바른 마음을 지키고 술에 취해 마음을 어지럽히지 말라는 것이 그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오계를 적극적으로 행하는 것은 우리의 본분을 순수하게 지켜 본분공덕을 실현하는 길인것입니다. 즉 오계는 선업을 낳을 수 있는 선행을 기본으로 합니다.
칠불통계는 과거 비바시부처님으로부터 석가모니부처님에 이르기까지의 일곱 부처님이 모두 전승하여온 함축된 계입니다.
즉 ‘모든 나쁜 짓 하지 말고 온갖 착한 일을 받들어 행하여 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삼귀의계는 불교에 들어와 귀의하겠다는 자세를 보이는 것입니다.
즉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교단에 귀의합니다'라고 하여 부처님께 귀의하며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에 따르며, 바른 법을 배우는 승가에 귀의한다는 것으로 모든 계의 기본이며수행의 시작입니다.
보살계는 신자가 받는 가장 높은 계입니다.
보살계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은 이미 삼귀의, 오계를 받아지니고 수행하는 신자로서 세속에 살면서도 출가수행승 못지않게 수행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거사, 보살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출처: 불교커뮤니티 '나는 불자다' 그리고 알기쉬운 불교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쉬운 불교] 130. 계를 못지켜 부담이 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0) | 2021.08.10 |
---|---|
[알기쉬운 불교] 129. 갓 태어난 신생아도 계를 받을 수 있나 (0) | 2021.08.10 |
[알기쉬운 불교] 127. 재가신자들이 집에서 행할 수 있는 수행에는 무엇이 있나 (0) | 2021.08.10 |
[알기쉬운 불교] 126. 범패와 바라춤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0) | 2021.08.10 |
[알기쉬운 불교] 125. 49재는 어떻게 지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0) | 2021.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