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0

[알기쉬운 불교] 17. 석가모니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란 어떤 것인가

석가모니부처님은 일찌기 보리수 아래에서 우주와 인생을 관철하는 궁극적인 진리 즉, 영원하고도 보편타당한 최고의 이치를 깨닫고 비로소 부처님이 되셨다고 합니다만, 그때 석가모니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란 과연 어떤 것이었을까요. ​ 다시 말해 석가모니부처님은 무엇을 깨달아 인류역사상 유례가 없는 최고의 성자 즉, 부처님이 되신 것일까요. ​ 예로부터 불교에서는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의 내용이 무엇이었나 하는 것만큼 중요한 논제가 없었습니다. ​ 불자들의 궁극적인 목적이 부처님과 같은 깨달음을 이루어 스스로도 부처가 되는 것인 만큼,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의 내용을 밝히는 것 그 자체가 이미 불교수행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는 경전들에는 깨달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불교 입문 2021.03.25

사찰넷 불교 일자리 구인구직은 '나는 불자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대표 불교 커뮤니티를 꿈꾸는 '나는 불자다' 카페에서 사찰넷 처럼 불교 구인과 구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 몰라서 못 올리는 구인 광고 무료로 사찰넷에도 올리고 '나는 불자다' 카페에도 올리세요~! '나는 불자다' 카페는 대한민국 최고의 불교 커뮤니티를 목표로 현재 불교 입문자들을 위한 양질의 컨텐츠를 폭풍 업데이트 중입니다. 사찰넷과 같이 좋은 컨텐츠가 있는 '나는 불자다' 카페로 자연스레 불교 구인도 올라오고 구직자들도 몰리는 건 시간 문제! 사찰넷 구인 구직을 올리고 그냥 복붙으로 편하게 '나는 불자다' 카페에도 한 번 더 올리면 무료로 몇 배의 광고 효과가 난다는 사실!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하냐고요? ​ 네이버 대표 불교 커뮤니티가 될 '나는 불자다' 카페에서..

카테고리 없음 2021.03.24

[알기쉬운 불교] 16. 석가모니부처님은 왜 모든 것을 버리고 출가하셨나

석가모니부처님은 일찌기 29세라는 젊으나 젊은 나이에 한 나라의 태자 자리를 위시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모든 권한과 장래, 재산, 심지어는 사랑하는 부모처자까지도 버리고 출가하여 정처없이 떠돌며 누더기로 몸을 감싸고 걸식으로 연명하는 수행자가 되셨습니다. ​ 그러면 그 무엇이 석가모니부처님을 그와 같이 유리걸식하는 출가수행자가 되도록 내몰은 것일까요. ​ 부처님은 왜 자신의 처지나 환경에 만족하지 못하고 세상사람들이 보기에는 비정상적이라고까지 할만한 삶의 길을 선택했을까요. ​ 석가모니부처님의 출가동기에 대해서는 옛부터 사문유관(四門遊觀)이라 하여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오고 있습니다. ​ 즉 부처님은 태자 시절 동서남북의 네 대문 밖으로 유람을 나간 적이 있었는데, 거기에서 각기 추하게 늙어버린 노인과 ..

불교 입문 2021.03.24

[알기쉬운 불교] 15. 천상천하유아독존이란 말씀에는 어떤 뜻이 담겨 있나

석가모니부처님의 탄생설화에는 태자가 탄생한 직후 사방으로 일곱 걸음씩을 걸은 다음 오른손과 왼손으로 각각 하늘과 땅을 가리키며 우렁찬 목소리로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란 유명한 선언을 하셨다고 되어 있습니다. ​ 그러면 하늘 위와 하늘 아래에 오직 나 홀로 존귀하다는 이 이야기에는 도대체 어떤 의미가 담겨 있을까요. ​ 부처님의 전기를 전하는 경전 가운데는 이상과 같은 귀절 다음에 삼계개고오당안지(三界皆苦吾當安之)라는 귀절이 이어지는 것도 있습니다. ​ 즉 온 세상이 모두 괴로움에 잠겨 있으니 내 마땅히 이를 편안하게 하리라는 뜻입니다. ​ 그러므로 이 귀절들에 담겨 있는 의미를 말 그대로 풀이해보면 부처님과 비견할 수 있을 만큼 위대한 분은 어디에도 없으며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것은 오직..

불교 입문 2021.03.19

[알기쉬운 불교] 14. 석가모니부처님의 탄생에 얽힌 설화가 많은데

석가모니부처님의 생애를 다룬 경전이나 전기들에는 부처님의 탄생과 관련하여 수많은 설화들을 전하고 있습니다만, 그 중에는 특히 요즘사람들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신비로운 얘기들이 자주 눈에 띄니다. ​ 예를 들면 마야부인이 태자를 낳기 위해 당시의 풍습대로 친정인 콜리성을 찾아가던 길에 룸비니동산에서 갑자기 산기를 느껴 아쇼카나무 꽃가지를 잡고 옆구리로 태자를 출산했다든가, 그때 천지가 진동하고 하늘에서는 꽃비가 내렸으며 온갖 천신들이 나타나 예배하고 연못 속에선 용들이 나와 오색의 따뜻한 물을 뿜어 태자를 씻어주었다는 등의 이야기들이 그것입니다. ​ 특히 갓태어난 태자가 사방으로 일곱 걸음씩을 걸은 뒤에 ‘하늘 위와 하늘 아래에 오직 나 홀로 존귀하도다. 온세상이 모두 고통 속에 잠겨 있으니 내마땅히 이를 ..

불교 입문 2021.03.19

[알기쉬운 불교] 13.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부처님은 어떤 분인가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부처님(釋迦牟尼佛)은 일찌기 우리와 같은 한 인간으로 이 세상에 태어나 우주와 인생의 최고 진리를 깨닫고 완성된 삶으로 나아가신 역사상 그 실재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부처님입니다. ​ 그분은 지금으로부터 2,600여 년전 인도의 동북부지방 히말라야 기슭에 있던 한 작은 나라인 카필라밧투의 태자로서 태어나셨습니다. ​ 아버지는 연로한 숫도다나왕이었고, 어머니는 마야부인이었습니다. ​ 태자가 태어날 당시 카필라밧투의 국민들이 태자에게 걸었던 기대가 얼마나 컸었는지는 태자의 이름을 모든 것이 다이루어진다는 의미의 닷타라고 지었던 사실에서도 엿볼 수 있습니다. ​ 아무튼 생모인 마야부인이 태자를 낳은지 이레만에 돌아가시고 이모 마하파자파티부인의 손에 의해 양육되게 된 것을 제외하고는 생활..

불교 입문 2021.03.19

[알기쉬운 불교] 12. 부처님이란 무슨 뜻이며, 어떤 분을 가리키나

부처님이란 인도의 옛말 붓다에서 온 우리말로, 본래는 깨달은 이, 진리에 눈뜬 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 중국에서는 그것을 한자로 번역할 때 소리나는 대로 옮겨 불(佛) 또는 불타(佛陀)라고 하기도 했고, 뜻으로 옮겨 각자(覺者) 등으로 쓰기도 했습니다. ​ 그러므로 우주와 인생에 깃들어 있는 영원하고도 보편타당한 최고의 진리를 깨달은 이가 부처님이고, 그로 인해 완성된 삶으로 나아간 이가 부처님입니다. ​ 또한 누구나 그와 같은 진리를 깨닫기만 하면 부처님이 될 수 있으며, 실제로 불교에서는 일찌기 인류역사속에 실재하셨던 석가모니부처님만이 아니라 다른 많은 부처님들이 계심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 그러면 부처님들이 일반인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요. 옛부터 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위대한 덕성을 여래십..

불교 입문 2021.03.19

[알기쉬운 불교] 11. 불자들이 항상 간직해야 할 마음가짐과 생활태도는

불교를 삶의 지표로 삼아 보다 올바르고 보람찬 인생을 추구해가는 불자들은 과연 어떠한 마음가짐과 생활태도를 지니고 자신의 삶에 임해야 할까요. ​ 불교는 그 자체가 모두 불자들의 올바른 삶의 방향과 태도를 일깨우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도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가르침들입니다만, 오늘날 우리들의 생활여건이나 사회적 조건 등을 감안할 때 다음의 몇 가지는 특히 불자들이 명심해야 할 사항들이라고 생각됩니다. ​ 우선 첫번째로 삼보에 대한 예경심과 더불어 삼보를 수호하는데 앞장서는 마음가짐을 지녀야 하겠습니다. ​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 및 불교교단은 우리 불자들 모두의 귀의처이자 마음의 보루입니다. ​ 그러므로 스스로 불자임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삼보수호에 매진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 둘째, 불자들은 정기..

불교 입문 2021.03.19

[알기쉬운 불교] 10. 불교에 입문하려는데 처음 불자가 되는 과정은

인간의 이성과 의지에 기초한 합리적인 실천을 통하여 올바른 삶, 참으로 가치있는 삶을 추구하는 종교인 불교는 입문을 하는데도 특별한 절차가 요구되지는 않습니다. ​ 다만 그동안 아무런 반성 없이 무비판적으로 살아가고 있던 우리들의 인생이 얼마나 무의미했던가를 스스로 깨닫고 이제부터는 올바른 가르침에 의지하여 참된 삶을 살아가겠다고 하는 각오만 있으면 됩니다. ​ 그러므로 석가모니부처님 당시에는 출신성분이나 가문, 학벌, 지위고하 따위에 상관없이 부처님께 귀의하고 가르침에 귀의하며 교단에 귀의한다는 삼귀의(三歸依)의 서원을 하고 평생동안 지켜야 할 생활의 규범인 계율(戒律)을 받으면 그것으로 입문이 가능했으며, 일단 그렇게 해서 입문한 사람들 사이에는 같은 길을 가는 구도자로서의 완전한 평등이 보장되었습니..

불교 입문 2021.03.19

[알기쉬운 불교] 09. 불교에서는 무엇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나

우주와 인생에 깃든 참다운 의미를 깨달아 스스로 지혜와 자비가 충만한 완성된 삶을 성취함과 아울러 그와 같은 진리를 이웃에도 전파하여 정신적으로나 도덕적으로 각성된 사회를 이루어가는 것을 궁극의 목적으로 하는 우리 불자들은 불(佛).법(法)·승(僧)의 삼보(三寶)를 삶의 지표이자 수행의 의지처로 삼고 있습니다. ​ 그러면 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삼보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 우선 삼보라는 말은 세 가지 보배라는 뜻으로, 불자들이 신명을 바쳐 수호해야 할 대상을 의미합니다. ​ 그리고 불이란 부처님이고, 법이란 부처님의 가르침, 승이란 불교의 교단을 의미합니다. ​ 여기에서 부처님이란 일찌기 우리와 같은 한 인간으로 이 세상에 태어나 늙고 병들고 죽지 않으면 안되는 인생의 현실에 대해 ..

불교 입문 2021.03.19